제목 없음
비스타에는 절전모드 기능 하나가 추가 되었는데 바로 "혼성절전모드"
입니다..
사용하려면 바이오스상에서 절전모드를 "S3" 모드 이상으로 설정 하셔야
합니다.
만약 "S3" 이상으로 설정 후에도 동작하지 않을 경우 아래 방법으로
해보세요.
바로 전원관련 옵션인 "powercfg"
cmd 창에서 powercfg /? 를 하면 수많은 옵션이 나오는데...
그중 문제의 절전모드를 컨트롤하는 옵션이 나옵니다..
powercfg -h on <= 혼성절전모드 혹은 최대절전모드
활성
powercfg -h off <= 위의 기능 비활성
|
제목 없음
다나와에서 Window
Vista 관련 이벤트를 한다기에 한마디 쓰려 했는데 다들 그림에 소설을 써 놨네.
기죽이네.나중에 구경이나 해 봐야지.
|
제목 없음
윈도우비스타에는 WMDC (Windows Mobile Device Centre)라는 프로그램이 들어 있다. 이 프로그램은 PDA 등을
붙여서 Sync하는데 사용하는 것으로 기존의 ActiveSync 를 대체하는 프로그램이다. 윈도우비스타에는 ActiveSync 프로그램이 아예
설치조차 안된다고 한다.
Windows Mobile Phone 이나 스마트폰, 포켓PC 등을 이 프로그램과 사용하면 된다. 아웃룩에 있는 메일을 PDA등에 싱크해서
가지고 다니면서 보면 된다.
PDA 등을 컴퓨터와 연결하면 AutoPlay 창이 뜬다. 첫번째 부분에 Sync하는 메뉴가 보인다.
Sync를 선택하면, 위와 같이 어떤 것들을 싱크할 지 선택하는 옵션이 나온다.
제어판의 모바일PC 메뉴에 들어가면 Sync center를 포함해 모바일 관련한 다양한 옵션이 나타난다.
|
제목 없음
디지털 카메라로 사진을 좀 찍어 본 사람들은 사진에 메타데이터라는 것이 들어가 있다는 것을 알 것이다. 메타데이터는 그 사진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담고 있다.
메타데이터에 들어가는 정보에는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
-사진 찍은 날짜와 시간
- 사진 크기
- 파일 용량
- 카메라 제조사
-카메라 모델
- F값
- 노출 시간
- ISO 스피드
- 노출 바이어스
- 초점 렌즈
- 최대 조리개
- 메터링 모드
- 거리
- 조리개 길이
- 파일이 만들어진 날짜
- 수정된 날짜
- 파일에 접근한 날짜.
메타데이터에는 누가 찍었는지 부분만 안나와 있을 뿐 왠만한 정보는 거의 다 들어 있기 때문이다.
찍은 날짜와 카메라 기종만 봐도 좋은 정보가 될 수 있다.
메타 데이터에 이런 좋은 정보들이 담겨 있지만 기존 윈도우XP에서는 이런 정보들을 제대로 보여 주지 않아 좋은 기능을 사장시켜 왔었다.
고맙게도 윈도우비스타에서는 이런 정보들을 탐색기에서 다 볼 수 있게 지원해 주고 있다.
속성에 들어가서도 이런 정보를 볼 수 있다. 이런 정보들은 단순하게 보는데만 의미가 있는 것은 아니다. 윈도우비스타가
제공하는 강력한 검색, 그루핑(grouping), 소팅(sorting) 등에 이 정보들을 이용할 수 있다.
윈도우비스타에서는 이런 메타데이터를 보여주는데 그치지 않고 추가적으로 점수를 줄 수도 있고(rating), 테그를 달 수도 있고, 캡션을
달 수도 있게 해 주고 있다.
|
제목 없음
XP가 설치된 상태에서
VISTA를 설치하여 멀티 부팅을 만드는 방법입니다.
xp가 설치되어있는 루트 디렉토리에 있는
NTLDR, NTDETECT.COM,
BOOT.INI
파일을 vista 설치할 파티션에 두시고 설치하신다면.
boot.ini를 지원하지 않던 vista를
이제 조절하실수 있으실겁니다.
참.. vista 설치할 파티션을 부팅순위로 바꾸시는거 잊지 마시구요.
|
제목 없음
[팁] 윈도우비스타에서 온라인 게임 하는 방법 |
|
|
'윈도우비스타에서 온라인게임을 하는
방법'이라는 팁 자체가 웃기다는 생각을 해 봅니다. 당연히 온라인게임이 잘 되어야 할텐데, 온라인게임을 즐기는 방법이 따로 있다니 말이죠.
2007년 1월 3일 현재 윈도우비스타에서는 온라인게임들이 거의 안됩니다. 거의 안된다는 것은 모든 게임이 안되는 것은 아니고 일부 게임은 될
수도 있다는 말입니다.
그런데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하면 정상적인 환경에서는 거의 안되던 온라인게임 중 상당수가 됩니다.
넥슨 사이트를 예를 들어 보겠습니다.

정상적인 상태에서는 위의 그림과 같이 "NxConn Install Error"라는 창이 뜨면서 초기
인스톨 프로그램이 제대로 설치가 안됩니다. 당연히 로그인을 할 수 없고, 게임도 할 수 없습니다.
이 상태에서 로그인을 하려고 하면 위의 그림과 같이 넥슨로그인 프로그램을 설치해야 로그인 할 수
있다고 나옵니다.
이렇게 설치가 안되는 이유는 윈도우비스타에서 보안을 강화하면서 엑티브엑스 설치가 잘 안되게 막아 놓았기때문입니다. 악의적인
엑티브엑스 프로그램이 잘못 설치되면 보안에 심각한 위협이 될 수 있어서 MS가 윈도우비스타에서 보안을 강화했습니다.
첫번째 방법 : 관리자권한으로 설치해야
윈도우비스타 설치 마지막 단계에서 만드는 계정은 관리자 권한일텐데 이상하게도 엑티브엑스 설치가 안됩니다. 물론 이런 문제는
윈도우비스타가 출시 될 때쯤이면 고쳐져 있을 겁니다.
위의 그림과 같이 윈도우비스타 [시작]아이콘 오른쪽에 있는 인터넷익스플로러 아이콘에 마우스를
가져가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클릭합니다. 팝업메뉴가 나옵니다.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A)]을 선택합니다. 이런 방법으로 인터넷익스플로러를
실행한 후 게임사이트에 들어가면 엑티브엑스를 설치할 수 있게 됩니다.
정상적으로 넥슨 로그인 프로그램이 설치 되었고, 로그인도 정상적으로 되었습니다.
카트라이더가 정상적으로 설치 됩니다. 게임 실행도 정상적으로 됩니다.
이런 방법을 이용하면 윈도우비스타에서도 상당 수의 온라인게임들을 즐길 수 있습니다.그러나 이 방법도 만능해법은 아닙니다.
카트라이더를 껐다가 다시 하려고 하니 또 다시 문제가 발생합니다. 아무리 해 보려고 해도 로그인이 안됩니다.

껐다가 다시 실행 했을 때 나타나는 증상들 결국 게임업체가 윈도우비스타와 완벽히 호환 되도록 프로그램을
수정하는 것이 최선의 방법인 것 같습니다.
두번째 방법 : Administrator 계정을 만들자
위의 방법으로도 제대로 안될 때에는 궁극의 관리자 계정인 Administrator 계정으로 로그온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이
방법이 첫번째 방법 보다는 훨씬 효과가 있을껍니다.
그런데 윈도우비스타에서는 아무리 찾아 봐도 Administrator 계정을 찾을 수가 없습니다. 꼭꼭 숨겨 놓았기
때문입니다. 제어판의 사용자 관리 메뉴에서는 눈을 씻고 봐도 Administrator 계정이 안보입니다. 레지스트리를 편집해서 만들어 줘야
합니다.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Administrator 계정을 다시 만들어 줍시다.
1. 비스타를 설치할때 만들었던 계정으로 로그온하세요
2. [시작] => [모든 프로그램] => [보조프로그램] => [명령 프롬프트]에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 클릭 후,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A)]을 누르세요.
3. [사용자 계정 컨트롤] 창이 나오면, [계속] 버튼을 누르세요.
4. [관리자 : 명령 프롬프트] 창에서 regedit를 입력후, Enter 를 눌러서, 레지스트리편집기를 실행시킵니다.
5. 왼쪽 칸에서
HKEY_LOCAL_MACHINE/SOFTWARE/Microsoft/WindowsNT/CurrentVersion/Winlogon 으로 가세요.

6. Winlogon키를 오른쪽클릭 => [새로 만들기] =>[ 키] 를 선택후,
SpecialAccounts 라는 새 키를 만드세요.
7. 위의 키를 만든후, 아래에 UserList키를 하나 더 만들어주세요.
8. 정확히 만들었다면, 현재 위치는 HKEY_LOCAL_MACHINE/SOFTWARE/Microsoft/Windows
NT/CurrentVersion/Winlogon/SpecialAccounts/UserList 가 됩니다.
9. UserList키를 오른쪽클릭 => New => DROWD 32bit 를 생성하고, 그 이름을
Administrator로 해주세요.

10. 새로 생성한 이 Administrator 를 두 번 클릭하고, 1로 적어넣으세요.

11. [명령 프롬프트]에 net user Administrator /Active:yes라고 써 넣고
엔터를 칩니다.
12. 재부팅후, 윈도우로 들어가면, Administrator 계정 아이콘을 볼 수 있을 겁니다.

Administrator 계정으로 로그인 후 카트라이더가 잘 되고 있다. 마이크로소프트는 절대로
Administrator 계정을 일반 사용자들이 쓸 수 있게 풀어주지는 않을 것입니다. 보안을 강화해야하기때문입니다. 윈도우비스타는 더이상
바뀌지 않는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바뀌는 것은 게임이어야 합니다. 윈도우비스타의 룰은 이미 정해졌으니 온라인게임들이 윈도우비스타에 맞게 바뀌어야
하는 것입니다.
윈도우비스타에서는 이렇듯 아직 온라인게임을 즐기기가 쉽지 않습니다. 게임 개발 및 서비스 업체들이 하루 빨리 윈도우비스타에
완벽 호환 되도록 게임을 수정해 주길 바랍니다. 최소한 윈도우비스타 발매일 이전에는 호환작업을 끝내 줘야할텐데 말이지요.
|
|
윈도우 비스타를 사용하면서 이곳에서 많은 도움을 받고 있습니다.
윈도우 비스타를 사용하면서 이곳에서
많은 도움을 받고 있습니다. 레디부스트(ReadyBoost)기능이 시스템 성능향상에
많은 도움이 될 듯 하더군요.
요즈음 USB 메모리가 많이 저렴해져서
저비용에 높은 효과를 볼 수 있는 유용한 기능으로 보여집니다. 과연
쓸 만한 기능인지 체험해 보았습니다.
먼저 사용중인 시스템 사양입니다. 인텔
코어2 듀오 6300 프로세서에 1GB 메모리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느껴지는 체감 속도는 XP와 비교해도 크게 떨저지지 않는 성능을 보이고
있습니다.

ReadyBoost 기능은 저렴한 플래쉬 메모리를 이용해서 캐쉬
메모리 처럼사용하는 기능으로 프로그램 실행 속도를 향상시키는 윈도의
비스타의 새로운 기능입니다.
여기서 여기서 중요한 점이 엑세스타임인데
플래쉬 메모리는 하드디스크 보다 데이터 전송속도는 느리지만 액세스타임이 빨라
좋은 효과를 보인다고 합니다.
그러나 MLC 타입의 플래시 메모리는 읽기
속도는 빠르지만 쓰기 속도가 느려 읽기 쓰기 속도가 모두 좋은
SLC 타입의 메모리가 제격입니다.
ReadyBoost 기능 사용하게 위해
SLC 타입의 1GB 메모리를 사용해 보았습니다. FAT32를 사용하므로 최대
4GB까지 지원된다고 합니다.
다음과 같이 LEMON 1GB USB 메모리를
장착하였습니다.

참고로 사용된 USB 메모리의 벤치마크
결과는 다음과 같습니다. 읽기 쓰기 속도 모두 10MB/s 이상에 액세스
타임 0.9ms 제품입니다.


제품을 USB 포트에 장착하면 비스타에서아래그림과
같이 반응합니다.여기서 시스템 속도를 높입니다 를 선택합니다.

이제 속성창의 ReadyBoost 탭이 열립니다.
기본적으로 880MB를 디폴트로
지정되고 있습니다. 여기서 "이장치를 사용" 을 선택한 후, 슬라이드
바를 이용하여 레디부스트로 사용하고자 하는 용량을 조정할 수 있습니다.
디폴트로 사용해 보았습니다.
.
내컴퓨터를 이용하여 USB
드라이브를 열어보면 ReadyBoost라는 지정용량 만큼의 캐시 파일이 생성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나머지 공간은 이동식 디스크로
사용가능한지 알아보기 위해 파일을 저장해 보았습니다. 이상없이 나머지
공간은 이동식디스크로 사용가능합니다.

만약 캐쉬 파일로 사용되는 동안
USB 메모리를 제거하면 문제가 발생할 것인가? 궁금해서 제거를 해보았으나,
전혀 문제점은 없었습니다. 대신 캐쉬된 파일이 없으므로 하드디스크에서
정보를 찾게 됩니다. 역시 다시 장착시에도 문제 없었습니다.
레디부스트를 이용하는동안 USB메모리를
지속적으로 엑세스 하고 있습니다. USB메모리의 불빛이 계속 깜빡거립니다.

그렇다면 과연 효과가 있을까? OnNow
기능처럼 빠른 부팅속도를 기대해 보았으나, 몇초 차이로 부팅속도가
빨랐으나 체감할 수 있는정도로 빨라지지는 않았습니다. 역시 부팅중에
USB 메모리를 읽는 것으로 봐서 캐쉬메모리로 활용되는 것임에는 틀림없습니다.
인터넷을 사용한다든가? 간단한 워드작업을
한다든가 하는 경우는 체감할 수 있는 속도로 빨라지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큰파일을 열어놓고, 또는 다중작업시에는
하드디스크 엑세스를 줄여주어 보다 부드러운 프로그램 실행되는 것은
느껴집니다. 많은 프로그램 사용시, 멀티작업시 레디부스트(ReadyBoost)기능이
시스템 성능향상에 많은 도움이 될 듯 하더군요.
간단 체험기였습니다..
PS. 시작 표시줄 -> 오른쪽 마우스클릭
-> 속성에서 이전 시작메뉴사용하기를 사용하면 XP의 이전메뉴 사용처럼
사용할 수 있어 좋았습니다.
|
|
제목 없음

Quick Launch는 XP 부터 사용되어 왔죠?
Vista에서는 이 Quick launch에 단축키를 지정해 놓았습니다.
'Windows + 숫자키'
좌측 상단에서부터 차례대로 숫자를 매기시면 됩니다.
팁이 되었는지 모르겠네요 ^-^
|
제목 없음
비스타 설치하고
이곳에서 좋은 정보 많이 얻어갑니다.
이제 막 윈도우 비스타를
사용하고 있는데, 재미있는 기능이 많이 있군요..
많은 유용한 정보가
공유되었으면 좋겠습니다..
|
제목 없음
많은
분들이 UAC기능때문에 설치나 실행에 난감해 하실줄 압니다.
제가
이번 비스타 개발자 레퍼런스때 본 것중 도움이 될까 싶어서 이렇게 써봅니다.
1.
설치가 안되는 경우..
비스타는
기본적으로 모두 막고 하나씩 풀자는 컨셉의 OS입니다.(예전 유닉스 계열처럼 말이죠..)
그래서
개발자 레퍼런스에서도 UAC를 회피하는 설치는 없을꺼다라고 했구요..(정말??)
그래서
어떻게 설치를 하면 되느냐..? UAC는 설치나 실행시 일시적인 어드민 권한을 가지는
것이라..
setup이나
install이란 이름은 자체적으로 OS에서 권한 상승을 시키게끔 UAC창을 띄운답니다..
그래서
위의 두가지 이름이 아닌 설치프로그램은 대부분 비스타가 튕긴다고 하더군요..
결론은
이름을 위의 두가지 형태로 바꿔라.. 아니면.. 설치 프로그램 속성에서 호환탭에
보면..
항상
관리자 계정으로 실행하는 옵션이 있습니다. 그걸 체크하셔도 되구요..
2.
실행시 안되는 경우..
비스타의
특징은 어드민 계정은 절대로 접근 못하게끔..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말이죠.. 물론
안전모드는 접근
가능합니다..)
그래서
기본은 유저계정이고 실행이나 설치시에만 일시적으로 어드민 계정으로 상승되고..
프로그램 종료후
에는
다시 유저계정으로 권한이 내려갑니다..
그래서..
실행시 항상 관리자 계정으로 실행하는 옵션.. 위에 써놓았죠? 저걸 체크하시면..
문제 있던 프로그
램도
대부분 실행 잘됩니다.. 허나.. 정말 실행이 안되는 경우는 아직 비스타에서 바꿘
내용을 프로그램 수용
못하는
경우니.. 포기 하시는게..
하여튼
많은 도움 되시길 바랍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