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작성자 | 작성일 | 조회 | 버튼 |
---|---|---|---|---|
[Vista Tip] 비스타의 여러 장점들~ XP에서 교체 이유라고 할까요? ^ ^ | doroon | 2007-02-23 | 229 | 게시글 열기 |
☆ 출처 http://www.microsoft.com/korea/windowsvista/features/foreveryone/performance.mspx
예전에 비스타 맛보기 행사할 때 보니, 안쓰는 USB 플레시 메모리를 이용한 메모리 확장 기술이 맘에 들더군요. 설명은 아래 EMD라고 해서 자세히 나와있습니다.
그리고 XP의 경우 메모리가 3G가 넘어가면 그 후로는 인식이 안된다고 하는데 비스타는 최적의 성능을 내려면 4G는 되야 된다고 하네요. 음... 메모리를 더 쓸수 있어서 좋은 것인지? 아니면 메모리를 많이 잡아 먹는 건지는 모르겠습니다.^ ^
Flip 3D의 경우 매우 강력한 성능을 보여주더라구요. Flip 3D가 작동하는 중에도 창에서 동영상이 그대로 플레이가 되고, 작업표시줄에서도 돌아가고 미리보기에서도 돌아가고...ㅋㅋ 멋지긴 하더군요.
성능Windows Vista의 새 기능인 절전 모드(Sleep), SuperFetch, EMD(External Memory Drive), HHD(Hybrid Hard Drive) 등을 사용하면 작업의 생산성을 더욱 높일 수 있습니다. SuperFetch는 메모리를 관리하여 가용 RAM을 최대한 활용하기 위한 기능이며, EMD은 RAM을 추가하지 않고도 성능을 증가시키는 기술입니다. Windows Vista에서는 배터리 수명과 성능, 안정성을 향상시키고자 HHD 기술도 활용하고 있습니다. Windows Vista와 함께라면 언제든지 바로 시스템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절전 모드(Sleep)Windows Vista에서는 절전 모드라는 새로운 전원 상태를 도입하고 있습니다. Windows XP의 경우 PC를 종료한 후에 다시 켜려면 시간이 오래 걸립니다. Windows Vista의 절전 모드 상태란 대기 모드 속도에 데이터 보호 기능 및 최대 절전 모드의 낮은 전력 소모량을 결합한 기능입니다. 절전 모드 상태에 있는 PC를 다시 시작하는 데는 2-3초밖에 걸리지 않습니다. 이 새로운 절전 모드 상태를 사용하면 컴퓨터를 종료하고 재시작하는 횟수가 줄어들게 되며, 간단한 클릭 작동으로 켜고 끌 수 있기 때문에 전력 소모량이 감소할 뿐만 아니라 데이터 보호에도 도움이 됩니다. 데스크톱 PC에서의 절전 모드Windows Vista 기반 데스크톱의 절전 모드 기능은 Windows Vista 기반 랩톱에서와 다른 방식으로 작동합니다. Windows Vista 기반 데스크톱을 끄면 사용 중이던 모든 문서, 응용 프로그램 및 데이터가 두 곳에 저장됩니다. 우선 손쉽게 액세스할 수 있는 메모리, 즉 RAM에 저장됩니다(Windows XP에서는 이를 대기 모드라 함). 이와 동시에 컴퓨터의 하드 디스크에도 같은 정보가 저장됩니다(Windows XP에서는 이를 최대 절전 모드라 함). 다시 말해 Windows Vista의 절전 모드에서는 현재 사용자 정보가 메모리와 하드 디스크 모두에 동시 저장됩니다. 절전 모드 상태에서 Windows Vista는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사용하므로 오랜 시간 PC를 사용하지 않은 후에도 다시 신속히 재시작할 수 있습니다. 간단히 마우스를 움직이거나 키보드에 있는 아무 키나 누르면 컴퓨터가 수 초 내에 재시작됩니다. 정전이 된 경우에는 절전 모드 상태에서 하드 디스크에 저장된 데이터를 사용하여 보호합니다. 즉, 정전 후 데스크톱을 다시 사용할 때 Windows Vista는 모든 데이터와 응용 프로그램을 그대로 유지한 채 디스크에 저장된 데이터를 사용하여 절전 모드에서 재시작합니다. 랩톱 PC에서의 절전 모드랩톱 PC에서는 전원 단추를 누르거나 랩톱 덮개를 닫으면 절전 상태로 변경됩니다. 데이터는 메모리에 저장되므로 빠르게 다시 사용할 수 있습니다. 배터리 전원이 소진되려고 하면 데이터가 디스크로 이전되어 데이터를 안전하게 유지할 수 있습니다. Windows Vista는 그 어떤 이전 버전의 Windows보다 훨씬 빠르고 안정성 있게 컴퓨터를 다시 시작할 수 있도록 해줍니다. SuperFetchWindows Vista의 또 다른 새 기능인 SuperFetch를 사용하면 Windows XP 기반 컴퓨터보다 훨씬 빨리 응용 프로그램 및 파일을 로드할 수 있습니다. 이전 버전의 Windows에서는 시스템 응답 능력이 일정치 않을 수 있습니다. 컴퓨터를 부팅하거나 빠른 사용자 전환을 수행하거나 아니면 점심을 먹고 와 보니 컴퓨터가 느려진 현상을 경험해 보았을 것입니다. 점심으로 지나치게 많은 탄수화물을 섭취한 사람은 행동이 느려질 수 있지만 컴퓨터는 완전히 다른 이유로 느려지게 되는 것입니다. 컴퓨터를 활발히 사용하지 않고 있을 때 배경 작업, 즉 자동 백업 및 바이러스 백신 소프트웨어 등이 사용자에게 거의 방해가 되지 않는 이 기회를 틈타 실행됩니다. 이러한 배경 작업이 응용 프로그램에서 사용하고 있는 시스템 메모리를 차지하게 되며, PC를 다시 시작한 후에 데이터를 메모리에 다시 로드하는 데 얼마간의 시간이 걸리므로 성능이 저하되는 것입니다. Windows Vista의 새 기능인 SuperFetch는 가장 많이 사용하는 응용 프로그램이 무엇인지 파악하여 이들을 메모리에 미리 로드하므로 처음 부팅할 때나 다른 사용자 프로필로 전환할 때 시스템 응답 능력이 더 향상됩니다. SuperFetch에서 사용되는 인텔리전트 우선 순위 계획에서는 가장 자주 사용하는 응용 프로그램이 무엇인지 파악하며 심지어 시간대에 따라 주로 어떤 응용 프로그램을 사용하는지를 구별할 수도 있습니다(예를 들어, 주중과 주말을 구분). 따라서 컴퓨터는 언제나 사용자가 원하는 작업을 수행할 준비가 되어 있는 것입니다. 또한 배경 작업보다 응용 프로그램에 우선 순위를 지정하므로 유휴 상태 후 컴퓨터를 다시 사용할 때 응답 속도가 그대로 유지됩니다. EMD(External Memory Device)PC 성능을 향상시키는 가장 최선의 방법은 시스템 메모리(RAM)를 추가하는 것입니다. 메모리가 많다는 것은 하드 드라이브에 액세스하지 않아도 많은 수의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그러나 메모리를 업그레이드하는 일이 항상 용이하지는 않습니다. 필요한 메모리의 종류가 무엇인지 파악해야 하며, 메모리를 구입하고, 컴퓨터를 열어 이를 설치해야 하는데, 때로는 이로 인해 시스템의 품질 보증 서비스 계약이 무효화되기도 합니다. 또한 일부 컴퓨터의 경우 메모리 확장 기능에 한계가 있어 RAM을 추가하고 싶어도 그럴 수 없는 경우가 있습니다. Windows Vista는 시스템에 메모리를 추가하는 작업에 새로운 개념을 도입하였습니다. USB 플래시 드라이브를 EMD(External Memory Device)로 사용함으로써 시스템 메모리를 확장하고 본체를 열지 않고서도 성능을 향상시킨 것입니다. 컴퓨터가 하드 드라이브에 있는 데이터에 액세스하는 것보다 훨씬 빨리 EMD 장치의 메모리에 액세스할 수 있기 때문에 시스템 성능이 높아집니다. 또한 EMD를 SuperFetch 기술과 결합하게 되면 시스템 응답 속도를 놀랄 만큼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EMD는 안정성과 보안 두 가지 측면이 모두 뛰어난 기술입니다. 데이터 손실이나 시스템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지 않고서도 언제든지 EMD를 제거할 수는 있지만 그럴 경우 성능은 장치를 추가하기 전의 수준으로 돌아가게 됩니다. USB 드라이브를 EMD로 사용하는 경우 마모는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고유한 알고리즘으로 인해 마모 패턴이 최적화되므로 심하게 사용하더라도 USB 장치를 EMD로 수년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EMD의 데이터는 암호화되므로 장치 제거 시 데이터에 대한 부적합한 액세스를 방지할 수 있습니다. HHD(Hybrid Hard Drive)HHD는 비휘발성 플래시 메모리 버퍼가 통합된 새로운 유형의 하드 드라이브입니다. 컴퓨터에 HHD가 장착된 경우 Windows Vista는 이 하드웨어를 활용하여 더 신속하게 부팅을 수행하고, 최대 절전 모드로 전환하며 사용을 재개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이 기술로 인해 시스템 안정성 및 배터리 수명도 향상됩니다. 하이브리드 드라이브는 Windows Vista 기반의 모바일 PC를 대상으로 설계된 것입니다. 데이터가 기계식 하드 드라이브에 대한 작업을 저장하는 플래시 메모리에 쓰여지기 때문에 배터리 전원이 절약됩니다. 하이브리드 드라이브를 사용할 경우 Windows Vista가 절전 모드에서 더 빨리 사용을 재개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데이터가 복원되는 속도가 기계식 하드 드라이브보다 플래시 메모리에서 더 빠르기 때문입니다. 또한 HHD가 장착되어 있고 절전 모드 상태인 경우 기계식 하드 드라이브는 작동을 하지 않으므로 이동 중에 하드 드라이브의 하드웨어에 문제가 발생할 위험이 감소합니다. 결과적으로 HHD를 활용한 Windows Vista는 배터리 수명이 증가하고 최대 절전 모드에서의 전환이 신속하며 안정성도 향상됩니다. |
||||
[Vista Tip] 바탕화면에 익스플로러 아이콘 만들기~ | doroon | 2007-02-23 | 152 | 게시글 열기 |
기본적으로 비스타는 바타오하면에 익스플로러 아이콘을 포함하고 있지 않습니다.
속성에서 "예전 시작 메뉴"로 변경해야 아이콘이 생성이 됩니다. |
||||
비스타에서 홈페이지를 여러개 동시지정가능 | heaye | 2007-02-23 | 120 | 게시글 열기 |
이제는 여러개의 IE를 띄우지 않아도 되고 하나의 IE안에서 탭방식으로 여러 싸이트를 동시에 띄울수 있는데여. 이때 홈페이지도 여러개를 동시에 지정 가능하더군요.
단지 어느페이지를 가장 좌측탭에 설정할것인가는. 인위적으로 조절이 안되더군요. 저같은 경우는 인터넷신문2개. 네이버. 다음. 이렇게 총 4개를 지정해 놨습니다. (하지만 너무 여러개 지정하는경우. 빠르게 IE를 종료와 실행을 반복할때 IE가 다운되었다는 재시작한다는 멧세지가 좀 자주 나오는 편입니다. )
즐겨찾기 창도 설정 조금 만져주면 xp에서처럼 IE좌측에 프레임을 세로로(좌우로) 갈라서 뜨게끔 할수 있더군요.
|
||||
아래아한글의 비스타지원버전은 | heaye | 2007-02-23 | 211 | 게시글 열기 |
지금 아래아한글 2007이 나오긴 했는데 아직 비스타지원은 아니구여 비스타지원패치가 3월말에 나온답니다.
즉 3월말에 패치후에는 아래아한글2007이 비스타도 지원하는 공식 버전이 되겠지요. 지금도 비스타에서 2007이 별다른 에러없이 작동된다고는 하지만 아래아한글측에선 비스타사용을 권장하지 않더군요. 아직 xp쓰고 비스타로 이전을 미루라고 하더군요.
|
||||
비스타에서 종료가 art+f4 해도 안되고 리부팅만 될때 | heaye | 2007-02-23 | 130 | 게시글 열기 |
시작버튼 누른뒤 우측에 전원버튼옆에 잘 보시면 제일 우측에 옵션설정하는 자그만 단추가 더 붙어있습니다.
그거 눌러보시면 art+f4눌렀을때 어떻게 작동할지 설정하는 메뉴가 뜹니다. 그걸 재시작>종료 로 바꾼뒤 art+f4 하시면 xp때처럼 정상적으로 종료가 될겁니다.
비스타에 와서 쓸데없이 구찮아진 부분중에 하나더군요.
|
||||
비스타 와 XP 간에 파일-폴더 공유시 참고사항 한개 | heaye | 2007-02-23 | 137 | 게시글 열기 |
저는 공유기를 사용해 인터넷공유는 잘 하고있지만 파일과 폴더공유는.. 아직 성공을 못햇습니다.;;; 사실 집의 XP컴터 3대간의 공유도 잘 못해서 저의 컴터내 공유폴더를 다른 누님컴 아버님컴에선 볼수있는데 그 반대는 안되더군요.;
여하간 금번에 새로 노트북을 샀는데 이 노트북이 비스타를 씁니다. 그래서 공유를 해보려고 햇는데 전혀 안되더군요.
그래도 노력의 와중에 한가지 팁 발견. Orz 혹시 돔이 되는분 있으시길. 그 팁은..
어떻게 해도 잘 공유가 안될때 혹시 바이러스백신(특히 번들된 노턴안티바이러스)에 방화벽설정에 들어가시면 파일쉐어링(파일공유)를 블럭 하도록 설정되어있는지 확인해보시길.;
네트워크만 생각하면. 치가 떨립니다. ㅠ
그외에 네트워크 억세스권한에 everyone를 추가하라거나 비스타자체방화벽을 끄라거나 기타등등이 더 필요하다고 하네여. 근데 다 해바도 공유가 안되더라는.;
|
||||
비스타 전체 네트워크 맵에서 XP컴터 안보일때 | heaye | 2007-02-23 | 127 | 게시글 열기 |
(이거는 워크그룹에서 작업컴퓨터간의 공유폴더 공유하는것과는 조금 다른 이야깁니다.; )
그거 LLTD 라는 프로토콜을 XP가 깔린 컴터에 일일히 설치해 줘야 한다는군요.
그리고 LLTD는 정품인증이 된 XP에서만 설치가 가능합니다.;;;
|
||||
비스타 프리미엄 에서 CD음반곡을 리핑(파일로바꾸는것) 하기 | heaye | 2007-02-23 | 104 | 게시글 열기 |
웃으실지 모르지만. 저의 경우엔 그냥 dvd멀티드라이브ODD를 연뒤에 CD를 넣으니까
자동으로 비스타가 윈도우즈미디어플레이어를 실행시킨뒤 넣은 CD를 리핑까지 자동으로 해주더군요.
자동으로 리핑된 음반은 시작버튼>내계정ID>음악 으로 들어가면 보입니다.
근데 곡이름은 이름바꾸기가 가능한데 음반이름은 변경을 못하겟네여. 혹시 아시는분 답글 부탁합니다.
비스타에서는 리핑이 너무 쉬워서 당황스러웠습니다.
|
||||
가장 기본적인 팁 | park9831 | 2007-02-23 | 167 | 게시글 열기 |
윈도우 비스타 종료 Alt + F4
ㅈㅅ.... 자삭하라하면 자삭함... |
||||
여섯 번째 팁, VISTA 와 다른 운영 체제 멀티 부팅 완전 삭제 방법 | 벙숙이 | 2007-02-22 | 133 | 게시글 열기 |
간단합니다... ⓐ Vista 가 설치된 별도의 파티션 또는 드라이브를 포맷한다. ⓑ 2000 또는 XP 등의 root 드라이브에 있는 'BOOT' 폴더를 삭제한다! ⓒ 각 드라이브에 있는 '$RECYCLE.BIN' 폴더를 삭제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