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작성자 | 작성일 | 조회 | 버튼 | |||||||||||||||||||||||
---|---|---|---|---|---|---|---|---|---|---|---|---|---|---|---|---|---|---|---|---|---|---|---|---|---|---|---|
바탕화면 아이콘 크기 조절 하기 | bongfish | 2007-03-29 | 372 | 게시글 열기 | |||||||||||||||||||||||
아이콘을 크게하는 방법으로만 나와 있군요. 줄일 수도 있는데 말이죠.
사실 기본 아이콘 크기 너무 큽니다. 줄여 사용하고 싶을 정도 입니다.
바탕화면에서 <Ctrl>키를 누르고 마우스 휠을 아래로 내리는 겁니다. 그러면 아이콘 작아집니다. 반대로 <Ctrl>키를 누르고 휠을 올리면 아이콘이 커집니다.
**참고로 아이콘 크기가 안 변할 때는 휠을 한번 클릭한 후 위와 같은 방법으로 움직여 보세요. 그러면 됩니다.
1280*1024 해상도 입니다. 아이콘 크기 한 번 비교해 보시죠.
보통크기 입니다.
제일 큰 크기 입니다.
제일 작은 크기 입니다.
한글판 비스타 얼티밋에서는 바탕화면에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클릭하고 <보기>를 선택하면 아이콘 크기를 3단계로 선택할 수 있습니다.
**배경화면은 윈도 비스타에서 제공하는 이미지인데 동양적이고 아주 멋지네요. 잉어 수묵화 입니다.
|
|||||||||||||||||||||||||||
타블렛없이 pc입력판 사용하기 | 이랜 | 2007-03-29 | 247 | 게시글 열기 | |||||||||||||||||||||||
버그인지 원래 그런것인지는 모르겠으나
일단 와콤 타블렛을 가지고 계신분께서는 와콤에서 제공하는 최신 드라이버를
설치하여 정상적으로 타블렛을 사용합니다.
간단합니다 이 드라이버때문인지는 모르겠으나
이후부터는 타블렛없이 재부팅하여도 pc 입력판 사용이 가능합니다. |
|||||||||||||||||||||||||||
사용자 계정 컨트롤--User Account Control | 오동동 | 2007-03-28 | 346 | 게시글 열기 | |||||||||||||||||||||||
[주]: 이글은 PC사랑 2007년 1월호에 올린 글 중 사용자 계정 제어(User Account Control, UAC)에 관한 부분만 뽑은 것입니다. 윈도우 비스타의 보안 관련 기능 중 핵심적인 기능이 바로 사용자 계정 제어 이지만, 어느정도는 편리성과 충돌이 일어나는 부분이기도 합니다. 사용자 편리성을 무시할 수 없지만 동시에 보안도 무시할 수 없지요. 윈도우 비스타를 테스트하는 입장에서는 사용자 계정 제어 대화상자가 사실 귀찮기도 하지만 사용자 계정 제어를 이용하는 것과 하지 않는 경우의 보안 결과의 차이는 아주 클 것으로 생각됩니다. 이점을 염두에 두시고 읽어 보시기 바랍니다.
마이크로소프트의 윈도 운영체제는 보안에 취약하다는 평을 들어왔다. 애플의 맥 OS X 운영체제나 리눅스/유닉스 운영체제보다 훨씬 더 많은 사람이 이용하다 보니 상대적으로 더 많은 보안 침해 공격을 받기도 했지만, 다른 운영체제에 비해 개념적으로 보안에 취약한 원인을 갖고 있었던 것도 사실이다. 즉, 맥 OS X나 리눅스/유닉스의 경우 보통은 컴퓨터에 일반 사용자 계정으로 로그온 하는데, 일반 사용자 계정은 시스템 폴더에 쓰기 권한이나 프로그램 설치 권한이 없다. 따라서 바이러스나 악성코드가 침입을 해도 시스템 전체에 영향을 미치기가 어려워 지는 것이다. 반면 윈도 비스타 이전의 윈도우 운영체제는 보통 관리자 계정으로 로그온 한다. 관리자 계정은 시스템 폴더에의 쓰기 권한, 프로그램 설치등 컴퓨터 운영에 관한 모든 권한을 갖기 때문에 관리자 계정으로 로그온 하였을때 바이러스나 악성코드가 침입한다면 시스템 전체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런 개념적인 결함 때문에 마이크로소프트의 윈도 운영체제가 보안에 취약했던 것이다. 마이크로소프트에서도 이 문제를 인식하고 윈도 비스타에서는 사용자 계정 컨트롤이라는 기능을 도입했다. 사용자 계정 컨트롤은 UAC라고도 불리우며 UAC는 User Account Control의 약자입니다. 사용자 계정 컨트롤은 기본적으로는 맥 OS X나 리눅스/유닉스 운영체제에서 일반 사용자 계정과 관리자 계정을 구분하여 평상시에는 시스템에 대한 영향을 끼칠 권한이 없는 일반 사용자 계정으로 운영한다는 개념을 받아 들인 것이다. 다른 점이 있다면 윈도 비스타의 경우는 로그온은 관리자 계정으로 하지만 로그온 후의 운영은 실질적으로는 일반 사용자 계정으로 한다는 것이다. 윈도우 비스타 설치시에 만들어지는 계정은 관리자 계정인데, 설치 후에 이 관리자 계정으로 로그온 하더래도 실제 운영은 일반 사용자 권한으로 하게 된다. 물론 일반 사용자 계정을 만들고 이 계정으로 로그온 해도 된다. 이 경우는 맥 OS X 나 리눅스/유닉스의 경우와 거의 유사하다고 볼 수 있다.
윈도우 XP에도 일반 사용자 계정은 있었지만……
그렇다면 한가지 의문이 들것이다. 윈도우 XP에도 일반 사용자 계정은 있었는데, 무엇이 다른 걸까?. 윈도 XP에서 일반 사용자 계정으로 로그온 하면 컴퓨터의 시간을 바꾸는 일 조차 할 수 없는 등 컴퓨터 운영에 제한이 너무 커서 사실상 일반 사용자 권한으로 컴퓨터를 운영한다는 것은 보통의 인내심이 아니면 불가능 했다. 시간을 변경한다든지 또는프로그램을 설치하려면 다시 로그오프 또는 사용자 전환을 하여 관리자 계정으로 로그온 하지 않는 이상 다른 방법이 없었던 것이다.
맥 OS X나 리눅스/유닉스의 경우 일반 사용자 계정으로 로그온 하더라도 관리자 권한이 필요한 경우 관리자의 비밀 번호를 입력하여 쉽게 관리자 권한을 획득 할 수 있다. 즉 일반 사용자 계정으로 로그온 한 상태에서 관리자 권한으로의 상승을 로그오프 없이 이루어 낼 수 있는 것이다. 또 이런 방식으로 권한 상승을 하게되면 만약 일반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았던 시스템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작업이 실행되려고 관리자로의 권한 상승을 위해 비밀 번호 입력을 요구하는 경우 비밀 번호를 입력하지 않고 해당 작업을 취소함으로써 사용자 모르게 시스템에 영향을 미치려는 악의적인 의도를 사전에 차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윈도 비스타도 이와 동일한 개념으로 권한 상승을 로그오프 없이 할 수 있도록 하여 일반 사용자 계정으로 로그온하더라도 적합한 방법으로 관리자 권한을 획득할 수 있도록 설계 되었다.
사용자 계정 컨트롤 대화상자의 종류와 의미
사용자 계정 컨트롤 대화상자는 관리자 계정으로 로그온 한 경우와 일반 사용자 계정으로 로그온 한 경우 서로 다르다. 차이점은 관리자 계정으로 로그온 한 경우 관리자 비밀 번호를 입력하는 상자가 없고 일반 사용자 계정으로 로그온 한 경우에는 관리자 비밀 번호를 입력하는 상자가 있어 여기에 반드시 관리자 비밀 번호 또는 관리자가 부여한 비밀 번호를 입력해야 한다는 것이다. 사용자 계정 컨트롤 대화상자는 대부분의 경우 세가지가 있는데 각각의 의미는 다음과 같다.
관리자 계정으로 로그온 한 경우
1)윈도 비스타에 포함된 기능을 실행하는 경우, 예를들어 제어판에서 방패 아이콘이 있는 기능을 실행하는 경우 파란색 배경의 사용자 계정 컨트롤 대화 상자가 열린다.
2)윈도 비스타에 포함된 기능이 아닌 서명된 프로그램을 설치하는 경우에는 회색 배경의 사용자 계정 컨트롤 대화상자가 열린다.
3)서명되지 않은 프로그램을 설치하는 경우 노란색 배경의 사용자 계정 컨트롤 대화상자가 열린다.
일반 사용자 계정으로 로그온 한 경우
이 경우에도 사용자 계정 제어 대화상자의 종류와 의미는 관리자 계정으로 로그온 한 경우와 같다. 차이가 있다면 각각의 경우에 관리자 비밀번호를 입력해야 한다는 점이 다르다. 예를들어 윈도우 비스타에 포함된 기능중 관리자 권한을 요하는 기능을 실행하는 경우 다음과 같은 파란색 배경에 비밀번호 입력란이 포함되어 있는 사용자 계정 컨트롤 대화상자가 열린다.
결론적으로 사용자 계정 컨트롤 대화상자의 색이 주는 의미는 노란색 배경의 대화상자가 열릴 때는 자신이 실행한 프로그램인지를 좀 더 주의 깊게 확인 한 후 허용 또는 [확인] 단추를 클릭해야 한다는 것이다. 한편 사용자 계정 컨트롤 대화상자는 사용자 계정 컨트롤 대화상자 이외의 다른 액션을 취할 수 없는 보안 데스크 톱(Secure Desktop) 환경에서 실행되는데, 이는 악성코드와 같은 악의전 프로그램이 그 실행 단추를 마치 사용자 계정 컨트롤 대화상자와 비슷하게 만드는 것을 막기 위한 조치이다. 사용자 계정 컨트롤은 윈도 비스타를 처음 설치한 직후에는 사용자 계정 컨트롤 대화상자가 자주 뜨는 경향이 있어 조금 번거로울 수 있다. 그러나 필요한 프로그램 설치와 설정을 수행한 이후에는 생각 만큼 사용자 계정 컨트롤 대화상자는 자주 뜨지는 않는다. 사용자 계정 컨트롤이 사용자에게 잘 정착되면 윈도 비스타는 보안에 취약한 윈도 운영체제의 오명을 어느정도는 벗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출처 : pcwinvista.com |
|||||||||||||||||||||||||||
시작 메뉴 종료 버튼은 종료 버튼이 아니다~ | 오동동 | 2007-03-28 | 346 | 게시글 열기 | |||||||||||||||||||||||
다음은 이번 PC 사랑 2006년 11월호에 실었던 내용 중 일부를 편집한 것입니다. 전체를 다 올리지 못하는 점 이해해 주시고 PC 사랑 11월호 많이 구입해 주세요. 위의 링크를 클릭하시면 됩니다. 이번호 부록이 윈도우 비스타 RC1 DVD입니다. 시작 메뉴에 있는 종료 버튼은 종료 버튼이 아니다 ![]() <참고>:윈도우 비스타 RC1 에서는 절전 모드가 제대로 동작하지 않는 경우가 많으니, 테스트하지 마세요. 시스템이 먹통이 되는
버그가 있습니다. 베타 2나 RC2의 경우는 정상 작동합니다. 절전 버튼옆의 자물쇠 모양의 버튼도 로그 오프 버튼이 아니다. 이는 잠금 버튼으로서 잠깐 자리를 비울때 작업하던 내용을 다른 사람이 보지
못하게 할 필요가 있는 경우 유용한 버튼이다. 정작 종료 명령이나 재부팅 그리고 로그오프 명령은 자물쇠 버튼 옆에 있는 화살표 버튼을 눌러야
나온다.
그러면 종료 버튼으로 바꾸기의 전원 옵션 고급 설정 화면이 뜨는데, 여기서 Power buttons and lid 앞에 있는 +버튼, 그리고 start menu power button 앞의 + 버튼을 눌러서 Sleep로 설정되어 있는 것을 Shutdown 으로 바꾸면 된다.
시작 메뉴의 슬립 버튼을 종료 버튼으로 바꾸는 과정을 플래쉬로 보시려면 여기를 클릭하세요. 출처 : pcwinvista.com |
|||||||||||||||||||||||||||
비스타와 오피스 2007에서 타블렛 펜 활용 - 펜 입력한 글자 크기 마음대로 조절하기, 펜으로 서브 메뉴 나타나게 하기 | bongfish | 2007-03-28 | 189 | 게시글 열기 | |||||||||||||||||||||||
비스타의 펜 기능은 이미 여러번 설명 되었습니다. 하지만 오피스 2007과 만났을 때 완벽한 기능을 자랑합니다. 펜으로 쓴 글씨 크기를 마음대로 늘렸다 줄였다 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펜으로 쓴 손글씨 마음대로 크기 조절 하기
타블렛이 설치 되어 있는 비스타 시스템에서 오피스 2007의 파워포인트 실행 화면 입니다. 검토 메뉴의 '잉크 입력 시작' 아이콘을 클릭합니다. 타블렛이 없는 시스템에는 '잉크 입력 시작' 아이콘이 보이지 않습니다.
[잉크도구] -[펜]을 선택하면 입력도구 들이 보입니다. 글자를 쓰기 위해서는 '사인펜'이 적당합니다. '사인펜'을 선택하고 펜으로 글자를 입력합니다. (웹기획 할 때 웹 페이지 오타 같은거나 수정 할 때 ppt 문서를 이용하여 정리하는데..비스타의 캡처 기능과 타블렛이 있다면 오타수정이나 간단한 수정 사항은 쉽게 문서화 할 수 있습니다. 50% 문서 작업이 편해 집니다.)
왼쪽 위에 있는 '개체선택' 메뉴를 클릭하고 방금 입력한 글자를 선택하면 화면에서 보는 것과 같이 선택 화면이 보입니다. ppt에서 개체를 선택했을 때 주변에 조절점들이 보입니다.
조절점 모서리를 드래그하면 글자를 늘릴 수 있습니다. 펜으로 입력한 글자는 일러스트의 벡터이미지로 인식하는듯 합니다. 여튼 글자를 늘려도 깨지지 않고 벡터이미지 같이 자연스럽게 늘어납니다.
글자크기를 줄일 수 도 있습니다.
펜으로 글자를 쓰면 생각보다 크게 입력됩니다. 오피스에서는 펜으로 입력한 글자를 마음대로 늘였다 줄였다 하여 편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참고로, 캡처도구에서는 이러한 기능이 되지 않습니다. 오피스 2007에서만 지원하는 기능입니다. 그러니 비스타와 오피스 2007이 찰떡 궁합이죠)
펜으로 서브메뉴 나타내기 타블렛을 사용하다 보면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클릭을 어찌할까요? 아주 간단합니다. 펜을 타블렛에 지긋이 누르고 있으면 커서 주변에 동그라미가 생깁니다.
동그라미가 생긴 후에 펜을 타블렛 판에서 떼면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클릭한 것과 같이 서브 메뉴가 나타납니다.
|
|||||||||||||||||||||||||||
비스타 홈 프리미엄,베이식에서 administrator 계정 활성화 | pico1 | 2007-03-27 | 315 | 게시글 열기 | |||||||||||||||||||||||
비스타 홈 프리미엄,베이식에서 administrator 계정 활성화
안전모드로 부팅후 콘솔창여신후(실행메뉴에(윈도우키+R) CMD)
net user administrator /active on 입력(띄어쓰기 주의)
재부팅하시면 기존사용자,administrator 두개 계정이 보일껍니다.
이때 administrator계정으로 로그인하시면 암호를 물어보니 기존 사용자로 로그인하신후
제어판->사용자계정->다른 계정관리->administrator 계정->새암호 입력후 재부팅
하시면 사용 가능 합니다.. |
|||||||||||||||||||||||||||
서명안된 드라이버 사용하기 | gspooh | 2007-03-27 | 351 | 게시글 열기 | |||||||||||||||||||||||
비스타 이전에 출시된 PC의 경우 드라이버가 비스타와 호환이 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설사 베타 드라이버가 있더라도 '비스타의 드라이버 서명'기능 때문에 아예 설치가 안된다.
베타드라이버라도 임시로 쓰고 싶어도 쓸수가 없게 만들어져 있다.
이런 경우엔 부팅시 F8을 누르면 부팅메뉴가 나오는데 리스트 중에서 '드라이버 서명적용 사용안함'을 선택하여
부팅하면 베타드라이버를 사용할 수 있다. |
|||||||||||||||||||||||||||
비스타 체감속도 2~3배 쓰기 | 문창록 | 2007-03-25 | 1229 | 게시글 열기 | |||||||||||||||||||||||
이팁은 비스타64비트 버전에만 해당되는 내용이고요 메모리가 2GB정도 되는분만 추천해드립니다. 만약 2GB가 안된다면 services.msc에 들어가셔서 자기에게 필요없는 서비스를 사용안함으로 해 최대한 메모리를 보유해놓고 하시면 됩니다. 먼저 실행창(윈도우키+R)을 열고 regedit를 입력하고 레지스트리 설정창에 들어갑니다. 그다음 이순서대로 HKEY_LOCAL_MACHINE - SYSTEM - CurrentControlSet - Control - Session Manager - Memory Management 쪽으로 가시면 DisablePagingExcutive가 있는데 이것을 값을 0에서 1로 바꿔주세요 그리고 난뒤 내컴퓨터에 들어가시고 고급시스템설정에 들어가셔서 고급항목에 들어가세요 그럼 성능항목이 있는데 설정탭을 누르면 성능옵션이 나오는데 거기서 고급을 누르시면 여러 시스템설정화면이 나옵니다 거기서 가상메모리로 변경으로 들어가셔서 C:\드라이브를 누르시고 페이지파일 사용안함으로 설정하고 재부팅하세요 그러면 비스타 체감속도는 200%~300%정도 향상되신걸 느낄수 있고 시스템 하드디스크 속도도 그전 속도보다 월등하게 빨라진걸 느낄수 있으실 겁니다. 원래 64비트 OS는 페이지파일이 최대한으로 적어야 64비트 성능을 제대로 구현할수 있다고 합니다. 아까 레지스트리의 설정은 페이지파일 쓰기를 중지 시키는 것이고요 내컴퓨터에서 시스템설정창에서 페이지파일 사용안함은 하드디스크에서 페이지파일을 더이상 사용하지 않겠다는 설정입니다. 원래 각 프로그램에 프로세서들이 일정기간 안쓰면(유휴IDLE기간) 그프로그램의 프로세서를 하드디스크 영역에 저장하게 되는데 그게 페이지파일 스왑파일이라고 합니다. 다시 그프로세서를 쓸때 메모리보다 많이 느린 하드디스크에서 불러오기 때문에 응답속도가 많이 떨어집니다. 설정하셔서 유용하게 쓰시길 바랍니다.
|
|||||||||||||||||||||||||||
뜨거운 감자인 윈도우 비스타의 노선변경 체험기 | xnaudgnl | 2007-03-25 | 408 | 게시글 열기 | |||||||||||||||||||||||
요새 뜨거운 감자인 윈도우 비스타, 저도 노선변경 했습니다! 쓰던 컴퓨터의 부재로 컴퓨터 교체 할 일이 있어서 이왕의 윈도우 비스타 컴퓨터 망설임 없이 구매했죠! 벌써 2주 가량 되어가는군요. 처음에 공식 출시 된 컴퓨터를 구매했는데... 인증서 설치의 다소 호환성이 떨어지는것을 조금씩 체감하지만... 동시에 꽉 찬 화면구성, 빠른 인터페이스에 감동하고 있습니다. 사실 사용해보고나니 모든 윈도 비스타 지원 PC가 혁신적인 비스타를 체험하도록 돕는 건 아니더군요. 사실 컴퓨터 구매할 때 설치 씨디를 따로 신청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다소 있었으나... 그래도 비스타의 혁신적인 보안 시스템과 신뢰성 있는 운영체제는 만족스럽습니다. 아직 비스타 사용법에 미숙한 까닭도 있겠죠^^ 앞으로 등장할 사용법을 완전히 숙지해서 고급 수준의 기능들을 제 것으로 만들 계획이예요. 여유가 생기면 추가 하드웨어도 더 설치할 계획입니다^^;;; 저의 결정에 탁월하고 자세한 정보를 다나와에서 팍팍 제공해주시길 바랍니다!!! |
|||||||||||||||||||||||||||
Vista 시스템 정보에 로고와 정보를 바꿔보기 | 메카라빔 | 2007-03-22 | 462 | 게시글 열기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