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 메뉴로 바로가기 본문으로 바로가기

윈도우 비스타 사용기 이벤트! 윈도우 비스타 출시 기념! : 다나와 이벤트

다나와 앱
다나와 앱 서비스 목록
다나와 APP
다나와 가격비교 No.1 가격비교사이트 다나와 앱으로
간편하게 최저가를 확인하세요.
--
QR코드
빈 이미지
다나와 앱 서비스 목록 닫기
일반 게시판

일반 게시판 테이블로 제목, 작성자, 작성일, 조회 등의 정보를 제공

제목 작성자 작성일 조회 버튼
윈도우 비스타의 기대되는 기능 정리..!! vanity21 2007-02-13 353 게시글 열기

1) shadow copy 기능 _ 실제 업무환경에서 가장 많이 사용될것으로 보여지는 기능 ( 기대 지수 : ★★★★★ )

업무에서 문서 편집과 이미지 편집등의 작업을 많이 하는 사용자에게 꼭 필요한
기능이라 여겨 집니다. 이전에 Excel, Word, 이미지 파일 작업시 순간 잘못하여 파일이름을 다르게 하지 않고,
그냥 저장 하였을 경우 사용자가 정상 저장을 하였기 때문에 컴퓨터는 판단하기를 정상적으로 저장하라고 했으니,
주인님 말을 듣고, 원본에서 수정되어진 템프 파일을 없애 버리게 됩니다. 이때 우리는 머리가 하얗게 되겠죠..
사용자 의도에 정상이라면 다행이지만, 아마 몇시간 공들인 작업이 순식간에 공백으로저장이 된다면 그리고,
이전의 파일 버전으로 들어가고 싶다한다면, 이때 우리의 윈도우 VISTA에서는 복원지점의 일부로서 자동으로
백업하는 파일과 폴더의 복사를 하는것이 shadowcopy 기능이 존재하여 그런 문제를 깔끔히 해결해준다는 것입니다.


2) defender기능 _ 악성코드로부터 이제는 해방된다...!! ( 기대 지수 : ★★★☆☆ )

악성코드 제거유틸이 비스타에 탑제가 되어 나온다고 하니, 참으로 고마운일이 아닐수 없습니다.
악성코드 때문에 많은 사용자들이 피해를 보고 있으나, 정작 악성코드 제거를 하는데 비용을 들여 사용할수있으니,
불편이 이만저만 있는것이 아니였습니다. 이는 저도 예외가 아니였습니다. 하지만 이제 그런 걱정은 이제 그만...^^
비스타 자체에 악성코드 제거 유틸이 탑제가 된다고 하니, 우선 신뢰가 갑니다. 혹시 사용자의 PC가 인터넷이 되지않는
상황이라도 악성코드제거 유틸을 사용할수 있다는 장점도 있으니, 이 기능 또한 확인 해볼만한 기능입니다.

3) UAC기능 (사용자 계정 콘트롤) _ 관리자기능에 힘을 실어주는 기능 ( 기대 지수 : ★★★★☆ )

회사내의 여러대의 PC를 혼자서 관리를 하다보면, 안정성과 보안의 문제에 봉착하여, 발생할수 있는 문제를 적절히
관리를 하지 못해 많은 낭패를 보는 경우가 허다 합니다. 저 그런 낭패를 많이 해봤습니다. 이제 비스타OS를 사용하게
된다면, 그런 걱정을 애초에 막아주는 사용자 계정 콘트롤 기능이 있어 관리자에게 너무나도 필요한 기능으로, 확실히
확인해보고, 유용하게 사용할 기능으로 판단이 됩니다.

4) AERO 기능 과 탐색기 _ 사용자에게 편리함과 시간을 벌어주는 기능 ( 기대 지수 : ★★★★★ )

이는 단지 이쁘게만 치장한 기능이 아님을 알수있습니다. 비주얼하게 여러개의 파일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 하였을때 AERO 에서는 한번에 비주얼하게 원하는 윈도우창을 찾을수 있는 기능으로 소개 되었습니다.
예전의 Alt+ Tab을 사용하여 원하는 윈도우 창을 열기 위해 한번에 열리면 장땡이지만,
안그렇다면, 몇 번의 시행착오를 거쳐 찾아야 하는 불필요한 시간이 업무에 지장을 주는데, AERO 기능으로 단번에
원하는 것을 찾는 다면, 생상성을 높이는 효과가 클것으로 보입니다.

그리고, 가상의 폴더를 사용한 빠른 검색기능이 탐색기에도 적용이 되었으며, 아이콘창,속성창,미리보기창에서도
문서, 폴더의 속성을 실행하지 않고도 확인 하다고 하니, 문서의양이 많이 지고, 저장된 폴더가 여러단계의
복잡한 구조를 이루고있다고 하더라고, 비스타에서는 무용지물이 될거 같습니다.

5)검색기능의 향상 Instance Search - 순식간에 내가 찾고자 하는 자료,정보를 뚝딱 ( 기대 지수 : ★★★★★ )

정말, 성격 급한 저와 같은 사용자를 위한 기능이 제대로 나왔습니다.
사용자가 원하는 작업이나, 문서,기타 자료를 빠르게 쉽고 편리하게 찾을 수 있다는 점에 매력을 느껴집니다.
여기에 가상폴더의 개념이 더해져, 한번 검색된 자료는 가상폴더에 저장이 되어, 한층더 스피디 하게 검색을 완료하여
빠르게 원하는 자료를 찾게 도와주는 기능이 바로 인스턴스 검색기능이라 합니다.

6)가젯 - 형사 가젯트?? 아니요,... 사이드바...가젯 ( 기대 지수 : ★★★★★ )

사이바에서 존재하는 하나하나의 Application을 VISTA에서는 가젯이라 명명하였습니다.
위의 가젯은 자주 사용하고 항상 실시간으로 액세스 해야 할 프로그램을 액세스 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실시간으로 엑세슬 할수 있다는 거, 여기에서 우리는 응용분야를 사내의 홈페이지나, 공지 게시판은 RSS 형태로
개발하여 필요한 정보가 실시간 업데이트 PC 또는 서버등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이 필요 할 경우 다른 작업을 하면서도
창을 닫지 않아야 하는 경우와 같이 업무중 꼭 해야 하거나 접근해야하는 정보를 놓지지 않도록 해야하는 Application을
로그온 동시에 실행이 다양한 곳에 활용 가능한 비스타 만의 새로운 기능입니다.

그외에 Windows Meeting Space, 갤러리, 자녀 보호 모드, 이벤트뷰어와 안정성모니터, 그룹정책등
짧은 글로 열거하기 에도 부족한 아주 많은 기능이 이 윈도우 VISTA에 탑재되어서 사용자들에게 선보여지길
기다리고 있다고 합니다.

이정도라면 업무 능률 향상에 대단히 유용한 OS가 아닐까 합니다. 여러분도 경험해보세요. VISTA의 능력을...!!

 

비스타 사용을 할까! 고민! 젊은 여우 2007-02-13 201 게시글 열기
제목 없음

우리들은 항상 새로운 OS의 출현을 기대하며 한편으로 업에 들어가는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의 금전적인 증가와  그에 따른 시간과 설치시 정신적 스트레스의 증가를 걱정하지 않는다.

왜...

이런 어려운 생각에.... 잠기다 보면 마냥 시간의 흐름을 기다리면 안정화 되는 시점에 모든 것을 실행한다.

 여러분 이 말의 뜻은 현재는 비스타에 대한 새로운 장점도 많고 그에 따른 단점도 많다는 것을 알려 드리려고 합니다.

짧게 장점과 단점을 기술 합니다.

1. 장점

 - 전체적인 시각적인 그래픽 인터페이스는 윈도우 비스타의 매력을 물신 풍겨준다.

- 높은 사양을 요구하는 비스타는 그래픽 인터페이스와 다양한 아이디어가 녹아든 여러 새로운 기능들이 빛났다.

- 지금까지 제기되던 여러 네티즌과 IT업체들에게서 공격받아 오던 보안 문제도 많이 신경 쓰고 적용한 부분도 볼 수 있다

2.단점

- 역설적으로 보안 기능이 강화 되었으나 아직까지 우리나라의 보안프로그램(금융거래)의 호환 문제로 두려움을 떨칠 수 가 없다는 것이 ?

완벽한 비스타와 하드웨어의 지원 드라이브의 미흡으로 아직도 비스타를 가지고 있으면서 완벽한 기능을 사용치 못하는 문제가 있다.

- 비스타 업을 위하여 많은 경제적 부담을 생각 하여야 한다.

3. 결론

그러나 새로운 도전을 원하고 고통을 감수한다면 새로운 것에 도전하여 사용해도 가능 하지 안을까!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 시장의 빠-른 비스타인증 제품출시를 바라면, 특히  하드웨어 회사(그래픽카드, 사운드카드, 등등...)들의 비스타 드라이브의 지원을 한다면 기존 컴으로도 어느 정도의 비스타 맛을 볼 수 있다고 봅니다.

윈도우 비스타 OEM???, DSP???, 정품??? yakim74 2007-02-13 375 게시글 열기
제목 없음 정품/oem/dsp 아리송한 단어들의 연속이죠??

이 부분에 대해서 설명 드릴게요.

 

정품 - 말 그대로 정품입니다. ;;; 정품을 구입하시고 씨디키를 입력하시면 입력한날로 180일 동안 기술지원을 받으실수 있습니다

OEM - 해당업체와의 거래로 마이크로소프트에서 기술지원을 받을수 없습니다. 기술지원은 해당업체에서 가능합니다

DSP(Delivery Service Pack)- 아시다시피 가격이 저렴합니다. 대신 기술지원을 받을수가 없습니다. 기술지원료가 없기 때문에 싸게 구입가능하다 합니다. DSP버젼은 싸기 때문에, 컴퓨터를 업그레이드 할 경우 재설치가 불가합니다. 업그레이드 없이 한 컴퓨터를 3년 정도 쓰신다면 DSP버젼을 사용하시는 것도 좋다 하네요.

참고로 OEM이지만 해당업체가 파산(업체 없어짐)일 경우 지원가능합니다.

MS 기술지원팀에서 설명한 내용 중에서

 

다음은

네이버 지식in eui999답변에서

라이센스 / 패키지(박스) / DSP(번들) 제품 비교표 >
구분 라이센스 패키지 ( 박스 ) 제품 DSP( 번들 ) 제품
구매자격 5 개 이상의
라이센스가 필요한 조직
1 개 이상 구매를 원하는 모든
기업체 및 개인
일반 소비자가 구매 불가능
PC 조립 , 생산자가 번들로 구매
소유권 영구소유 (주 1) 해당 버전에 대한 영구 사용권,
구매 당시의 버전만 사용가능
PC 번들용으로 해당 PC 폐기시 소프트웨어도 폐기 됨 , 타 PC 설치 및 사용불가능 함
업그레이드 계약 기간 동안
출시되는 신 버전 제공
(주 2)
해당 제품의
upgrade 제품 추가구매 필요
upgrade 안됨
사내관리 라이센스와 최신버전
제공으로 불법 사용에 대한 이슈가 없으며 , 라이센스 관리 툴로 손쉬운 관리
보유 PC 와 SW 구매 수량의 관리가 취약 , 개별 구매로 인한 비용 상승 PC 교체 시 또는
타 PC 에서의 SW 사용이 불가능하므로 , 관리가 어려움
( 주 1) 임대 라이센스 제외
( 주 2) Upgrade 옵션 선택시
자신의 컴퓨터가 비스터 OS를 사용할 수 있는지 테스트 해볼 수 있는 곳!!! yakim74 2007-02-13 349 게시글 열기
제목 없음 http://ati.amd.com/technology/windowsvista/areyouvistaready.asp

내 컴퓨터에 윈도우 비스타를 설치해서 사용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자동으로 알려주는 곳이다...

 

"Can u run it?"이라고 물어보면 "Go"버튼만 누르면 된다...

윈도우 비스타 관련 사이트 yakim74 2007-02-13 221 게시글 열기
제목 없음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비스타 - 마소 코리아 공식 사이트

http://www.microsoft.com/korea/windows/products/windowsvista/default.mspx

 

김창연의 윈도우 비스타 블로그 - 비스타 관련 정보에 대해서 총망라, 제가 도움 많이 받고 있는 곳입니다.

http://pcwinvista.com/

 

아크몬드의 비스타블로그 - 윈도우즈 비스타, 매뉴얼, 스크린샷, 컴퓨터 팁 수록.

http://vista.golbin.net/

 

 

 

 

많은 도움 되시길...

비스타 관련 새로운 소식 꽥~ 2007-02-13 183 게시글 열기
제목 없음 1. WIE7 의 피싱필터 성능 개선 업데이트가 제공됩니다.

KB928089 라는 번호로 현재 업데이트 가능하다고 표시되었습니다. 비스타 와 XP 에서 모두 가능합니다. (오류 지적해주신 '너른호수'님 감사드립니다)
이 업데이트에서는 다중 피싱필터 동시감지 시스템이 개선되었습니다. 예를 들어 탭을 동시에 열어 동시에 여러 페이지를 탐색할 경우, 피싱필터가 여러개의 탭을 동시에 검사하면서 CPU 점유율 향상 되는 문제가 해결되었습니다.

그리고 일부 멈춤 문제나, 탐색중인 페이지를 검사할때 일어나는 충돌 등을 해결했다고 알려졌습니다.

2. 비스타 음성인식이 조종당할수 있는 예외 상황 인정

마이크로소프트가 비스타 음성인식이 외부로 부터 조종당할수 있는 예외적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는 지적을 인정했습니다.

한국에서 이런일 로 피해입는 사람...거의 없겠군요 :)

3. Windows 7 이 이름이 아니었다.

비엔나라는 코드명이 변경된것으로 파악되었습니다. 즉, NT 커널이 단숨에 7 .0 으로 건너 뛸수도 있다는걸 암시 해주는 것일수도 있겠죠.

4. DreamScene 작동영상 공개

Paul 씨가 자신의 웹사이트에 Ultimate Extras 중 하나인 DreamScene 작동영상을 공개했습니다.

자신의 비디오를 바탕화면에서 틀어둘수가 있습니다! 이는 곧, 비디오 틀어두고 바탕화면 보면서 메모하기 라는 새로운 컴퓨터 메모 방식까지 만들어 낼수 있지 않을까 생각해 봅니다.

보시려면 http://www.winsupersite.com/reviews/winvista_ultimate_extras.asp 로 가셔서 중간쯤에 있는 플레이 버튼을 누르세요.

5. nVIDIA 비스타 지원 드라이버 제공관련 정보

현재 포스웨어 100 빌드 역시 베타에 머물러 있습니다. 이에 대해 엔비디아 측은 무반응 상태로 있는 상황입니다.
AMD 에 포함된 엔포스 4 등에서도 심각한 인식관련 문제가 잔재해 있음에도 엔비디아 무반응으로 일관 중입니다.

6. 안철수연구소, V3 비스타 지원 베타버전 공개

안연구소가 V3 2007 비스타 지원버전의 베타를 공개했습니다. 그러나 대체적으로 비스타에서는 NOD32 와 노턴, AVAST 등이 조금 더 안정적이면서 가볍게 동작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아직 베타인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7. 애플, 비스타가 아이팟에 영향 끼치므로 사용비권장 경고

애플이 아이팟을 비스타에서 사용하면 아이툰즈 같은 소프트웨어와 비정상적으로 동작한다면서 비스타를 더 있다가 안정화되면 사용하라고 아이팟 사용자에게 경고했습니다.

경쟁의도 보다는 실제 오류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 하자는 목적이었던것으로 파악됩니다.

8. iriver plus 3 비스타에서 작동 가능 방법

iriver plus 3 를 비스타에서 작동할수 있는 방법은 설치 파일 속성으로 들어가서 호환성 탭에서 XPSP2 로 설정하고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하시면 가능합니다.

9. Windows Update 를 통해 응용프로그램 호환성 보완.

윈도우 업데이트를 통해 몇몇 프로그램과의 충돌문제를 MS 에서 해결해 배포했다고 밝혔습니다.

* 추가:

비스타 정식버전에 부트로고 있습니까?

아니요. 없습니다. 여전히 아주 빨라진 지렁이(!) 만 있습니다. 이는 MS 관계자가 MSBeta 모임을 통해 "부팅속도 빠르게 하려고 없앴던걸로 알고 있습니다." 라고 언급했습니다.

부트로고가 bmp 포맷으로 처리되어서 그로 인한 리소스가 들면, 부팅이 길어질수도 있어서 제거했던것으로 안다고 했습니다.


앞으로 나올 다음 윈도우 버전에도 부트로고가 없습니까?

확정되지 않았습니다. 언급도 없었습니다. 그건 가봐야 알수 있습니다.


Windows Management Instrumentation (WMI) 서비스를 자동으로 활성화 해주는 윈도우 업데이트 930955 가 업데이트 리스트에 추가되었습니다.

삼성전자 컴퓨터 모델별 비스타 익스프레스 업그레이드 배송 일정은 http://www.zaigen.co.kr/intro/notice_Read.aspx?page=1&idx=236 에서 확인하실수 있습니다.

출처: 아크몬드의 비스타블로그

 


윈도우 비스타 데모 (올리면 안되는건가?) 安으로 2007-02-09 1122 게시글 열기
제목 없음

http://www.microsoft.com/korea/windows/products/windowsvista/seeit/demo_player.swf

 

이거 올리면 안되면 바로 삭제좀 해주세요.

 

 

다나와에 등록된 VISTA 상품 정보- 좀 썰렁 安으로 2007-02-09 568 게시글 열기
제목 없음
제조회사     Microsoft     제조년월    2007년 01월
제품 분류    운영체제 사용 장소    제한없음
패키지 형태    단품 설치 형태    DSP
사용 OS 기반    윈도우즈     
다나와에 등록된 윈도우 비스타 가격 安으로 2007-02-09 1042 게시글 열기
윈도우 비스타에서 actviex 사용기 [펌] 나와폐인 2007-02-07 1556 게시글 열기
제목 없음

http://blog.naver.com/hgchoi123?Redirect=Log&logNo=100033782747

 

 

음..

MS의 주특기 중에 하나인.. 인터페이스 스타일 바꾸기의 전통은 사라지지 않았네요.
처음 화면에서.. 기능을 찾아들어가느라고 애먹었습니다.

다른 분들도 느끼시겠지만..
이것저것 변한부분이 보입니다.

아.. 그건 글쿠.. 구글데스크탑의 인터페이스 스타일에 왜 바뀌었는가 했더니..
비스타때문이네요..ㅎㅎ

비스타에 들어있는 사이드바와 비교하면 구글데스크탑의 인터페이스 디자인이..
더욱 잘 어울립니다.

일단 인터페이스 디자인만 몇개 살펴보면..

보더가 다시 두터워졌네요.
제 기억을 다듬어 보면.. 윈도우즈 1, 2 시절에는 좀 두터웠는데..
당시 해상도가 아주 작던 시절이어서 이것이 불만이었고..

좀 심플한 스타일의 디자인으로 변했고..

이번에 비스타로 변하면서 전반적인 표준 해상도를 크게 늘렸나 봅니다.
오피스 2007(?)인가도.. 보니까..
툴바(?)영역의 높이를 과감하게 늘려서 나오네요.

한동안 추세가 되지 않을까 하네요.

흠~~ 이젠.. 모니터 17인치도 작게 느낄듯...

제가 지금 19인처 두개를 듀얼로 사용하고 있는데..
모랄까..

타이틀과 보더가 두툼해진 느낌이 많이 오네요.

에이로의 투명한 스타일도 그렇고.. Alt-Tab으로  선택하는 화면의
3D기능.. 플립3D가 맞나요? 하여간..
기대했던 거에 비하면 썰렁하긴 하지만..
(정말 썰렁~~~ )

아! 정말.. 아이콘이 벡터타입으로 변했다고 하는데..
정말 이뻐지네요....

그 덕분인지.. 초기 셋팅에서 아이콘이 엄청 커보이네요.. (ㅋㅋ)

이런 저런 프로그램 설치때문에.. 데몬을 많이 사용하는 편인데..
가지고 있던 데몬이 설치가 되지 않아서 순간 당황~~~
ㅎㅎ
그러나.. 데몬툴즈에서는 대응도 빠르네요..

아..

그건 글쿠..
정말 설치 자체가 안되는 프로그램들이 몇 인군요.

VMWare, 아래한글 2002....

아래한글이 설치가 안되는 것은 치명적인데..
더군다나..

이 프로그램에는 알려진 호환성 문제가 있습니다... ㅡㅡ;
혹은..
installer의 작동이 중지되었습니다.



그리고..
가지고 있던 ActiveX를 몇개 설치해보니..
설치 자체는 잘되는데( 인증서가 있으니까.. )

ActiveX에서 HDD에 접근해서 무신 짓을 하는 것은 안되나 봐여..
이런 부분들은 수정을 가해야 할듯..
그냥 ActiveX를 컨트롤로 사용하는 부분들은 별 이상이 없는듯.

네이버에 그 많은 넘(?)들은 잘 설치 되네요..

설치한지 몇시간이 안되서리...

아.. V3는 잘 설치되네요..

머.. 이런 저런 프로그램 동작시에 나타나는..

'사용자 권한 설정'은..
몇번 보니까.. 무뎌질정도로 많이 나오네요..

그리고..

제가 잘 사용하는 Delphi 7을 인스톨하니..
몇가지 호환성에서는 걸리지만 무시하고 넘어갔는데..
실제 델파이를 실행하니..

정상적인 동작이 안됩니다.

흐흠~~

내용을 보니..

program files에 임시파일을 생성하는 델파이류와 같은 프로그램들은..
정상가동이 안되네요..

허극...

ㅡㅡ;

이거.. 비스타 재미있네요..
이것 저것 특이한 넘들이 있는지 봐야겠네요..
호기심 자극 만빵입니다..
==========================================================

 

폴더에 권한을 주지 않아도 실행하실때 어드민 권한(Run as Administrator)으로
실행하시면 잘 실행됩니다.
비스타는 기본적으로 어드민으로 로그인이 되어도 일반 유저권한으로 모든 프로그램이
동작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보안을 위한 것이죠... rc1에서는 UAC(User Account control)이라는 기능이 있는데,
완전히 어드민으로 사용하시려면 UAC기능을 off 하시면 됩니다.
beta버전에서는 다른 이름이었는데, 잘 기억이 나지 않네요...
하지만 보안상 권장하지 않는다고 메세지가 나타날겁니다.

그리고, ActiveX의 경우 설치가 되더라도 IE7의 프로텍티드 모드가 기본적으로
활성화 되어 있어서 하드디스크에 접근이 불가능합니다.

이를 가능하게 하는 방법중의 하나가 해당 사이트를 신뢰할 수 있는 사이트로
등록하는 겁니다. 이 부분에 대해서는 제가 "강좌,팁"란에 짧은 글을 올려둔것도
있습니다.

물론 모든 디렉토리가 접근가능하지는 않지만 사용자 디렉토리의 경우는 100% 접근이
가능해 집니다.

저도 이쪽으로 더 낳은 방법을 찾아내야 하는데, 아직 방법을 찾지 못하고 있답니다...ㅜㅜ

참, 아시겠지만 Run as Administrator 는 마우스 오른쪽 클릭하시면 팝업메뉴에
나타납니다.
====================================================

원래 그러했군요..

일단.. Program files의 모든 권한을 해제해버리니까..
묻지 않기는 하네요..
마우스 우측을 안눌러도 동작은 잘되는데..

UAC를 사용안하는 것처럼.. ㅡㅡ;

이 상태는 거의 WinXP라고 보면 되겠네요.

그리고, 말씀하신데로.. '신뢰할 수 있는 사이트'
등록을 한까 문제 없이 넘어가네요..

다만..

혹시...
호환성 체크하는 부분을 넘기는 부분은 없을까요?
=========================================================================

팁이라고 할 것 까지도 없지만 일단 몇 글자 적어 봅니다.
물론 근본적인 해결 방법은 아닙니다.

최근 Vista때문에 고생 아닌 고생을 하고 있습니다.
ActiveX를 통해 사용자 PC에 특정 프로그램을 업데이트 하는데
Vista + IE7 사용시 이 부분이 문제가 되었습니다.

UAC기능을 꺼버리면 상관이 없지만, 보안과 관련된 부분이라
그럴수도 없는 처지였습니다.

증상
ActiveX를 통해 업데이트 시도 시 사용자 폴더에도 파일 생성이
되지 않는다. 물론 프로그램상에서는 된다고 True를 리턴 합니다.
ActiveX를 로컬용으로 개조해 테스트하면 아주 아주 잘 됩니다.

해결
처음에는 이 증상의 해결을 위해 IE7이 아닌 윈도우 자체쪽으로 접근했습니다.
UAC에 대해서도 알아보고 김도완님이 알려주신 ActiveX Installer Service 도
알아보고... 계속되는 좌절로 가슴이 아팠습니다.

그런데 의외로 아주 간단하게 해결이 가능 합니다.

해당 사이트를 신뢰할 수 있는 사이트 리스트에 등록하면 됩니다.
메뉴 > Internet Option > Security > Trusted Site > Sites에서
website를 추가하면 됩니다.
 
우선은 신뢰할 수 있는 사이트에 해당 사이트를 등록하면 업데이트가 원활히
진행되고, 파일 실행도 정상적으로 되는 것을 확인 하실 수 있을겁니다.

이유는 Protected Mode때문인데요.
Protected Mode는 디폴트로 모든 사이트에 대해 ON 되어 있으나 신뢰할 수 있는
사이트는 디폴트로 OFF가 되어 있습니다.

이 방법의 문제점은 사용자가 Protected Mode를 ON 시켜두면 무용지물 이라는
겁니다... ㅜㅜ

아무리 생각해도 이 방법은 여러가지 문제가 뒤따를 듯 합니다.
아뭏튼 더 괜찮은 해결 방법이 생기면 다시 글을 올리도록 하겠습니다.

===============================================================

여기 참고가 될만한 자료가 있습니다.

http://itviewpoint.com/data/1020_TechNet_IE7.ppt

죠스고기님.
http://www.delmadang.com/cwb-bin/CrazyWWWBoard.exe?db=dmdlec3&mode=read&num=3460&page=1&backdepth=1

이글에서처럼 이미설치된 ActiveX에 대해서는 code? 부분을
삭제하면 Vista + IE7에서도 구동되는 것인가요?
테스트할 수 있는 환경이 아니라 여쭤봅니당. ^^;
=================================================================== code?를 생략 가능하다면 아래처럼 해주는 방법도 있습니다.


*code sign 생략하기

Html(jsp, asp, php 등)에 포함된 ActiveX 가 어떻게 Client PC에 설치되는지 이해한다면 code
signing을 회피해 서명되지 않은 ActiveX를 설치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AcitveX 가 설치되는 과정을 상상해 봅시다(Internet Explorer가 실제로 어떻게 되는지 알 수 없으므
로). IE 주소창에 ActiveX가 포함된 페이지의 URL을 치면 해당 페이지의 HTML을 파싱 하다가 <OBJECT
태그를 만나면 <OBJECT 태그에 명시되어 있는 CLSID로 현재 Client PC에 해당 COM객체(ActiveX도 COM
객체의 일종)가 설치되어 있는지 검사한다. 있다면(그리고 code?에 명시된 버젼이 더 이전 것이라
면) <OBJECT 태그에 code?에 명시된 해당 컴포넌트(ocx 혹은 cab)를 다운 받지 않고 이미 설치되
어 있는 COM객체의 인스턴스를 생성해 IE 캔버스에 Embed 된 형태로 보여주겠죠? 만약 설치되어 있지
않다면 <OBJECT 태그의 code?에 명시된 파일을 다운 받습니다. 그리고 얘가 서명되어 있는지 검사
하고 서명이 안되어 있다면 IE에 설정된 대로(서명이 안된경우 WinXP SP2부터는 디폴트로 설치 거부)
설치를 하거나 말거나 하겠죠. 여기서 설치는 regsvr32 abc.ocx 이런식으로 윈도우 시스템 레지스트
리에 등록하는 과정이죠.
여기서 주목해야 할 점 2가지가 나왔습니다. 첫째는 ActiveX도 COM 객체이므로 regsvr32로 등록하면
사용할 수 있다는 것과 둘째, IE가 이미 설치된 COM 객체에 대해서는 code? 속성 체크를 생략한다
는  것! 이 두가지 사실과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code 서명 검사를 건너뛸 수 있습니다(델마당 강좌란에 설명이 있었음 - 바로 전글 링크).

<OBJECT id="MainPrg"
             classid="clsid:B501DAB0-D975-4339-9758-848168155E06"
             code?="UMainPrg.ocx#version=1,0,0,0"
             width=192
             height=186
             align=center
             valign=middle
             hspace=0
             vspace=5
             border=0><param name="AxBorderStyle" value="0"></OBJECT>

보통 HTML내에 위와 비슷한 형태의 코딩이 있습니다. 이중에서 code? 부분에 파일명과 버전정보가
들어 있어 IE가 ocx버전이 변경되었을 경우 새로 받아 인증서를 검사하죠. 여기서 과감히 code?=
하고 시작하는 라인을 삭제합니다.

<OBJECT id="MainPrg"
             classid="clsid:B501DAB0-D975-4339-9758-848168155E06"
             width=192
             height=186
             align=center
             valign=middle
             hspace=0
             vspace=5
             border=0><param name="AxBorderStyle" value="0"></OBJECT>

ActiveX를 받아 설치하는 과정을 상기해 보면 code? 부분을 skip하는 경우는 Client PC에 clsid에
해당하는 COM객체가 이미 설치된(레지스리에 등록된) 상태에만 가능하다고 했지요. 그러므로 이런 코
딩을 해주기 위해서는 COM객체가 이미 설치되어 있어야 하죠. 설치되어 있지 않다면 다른 방법으로
(설치 인스톨 프로그램 같은) 설치를 유도해야 합니다.
아래와 같은 Javascript 로 해당 COM객체가 설치되어 있는지 검사할 수 있습니다.
function IsInstalled() {
try {
  var prgobj = new ActiveXObject("UMainPrg.axUMainPrg.1.0");
  if (prgobj != null) return true;
  else return false;
} catch(e) {
  return false;
}
}
new ActiveXObject에 파라미터로 있는 “UMainPrg.axUMainPrg.1.0” 는 COM 객체의 ProgID(프로그램아
이디)입니다(ProgID는 Registry에서 HKEY_CLASSES_ROOTCLSID 하위에서 설치(등록)된 COM 객체를 찾
아 보면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 ProgID에서 감이 오시죠? 이 ProgID를 통해 설치된 COM객체의 설치
여부와 버전관리가 가능할 수 있습니다. 물론 이런 ProgID는 자동으로 위와 같이 설정되지는 않고
Delphi에서 보통은 “UMainPrg.axUMainPrg”으로 생깁니다. 여기다가 “1.0” 이라는 문자열을 더 추가시
킨 것이죠.
사용법은 첨부된 SafeFactory.pas 라는 파일이 있습니다. 이 파일을 *Impl.pas 소스
맨 위에 uses절에 추가시키고 맨아래 initialization 부분을 아래와 같이 수정하시면 손쉽게 생성할
ActiveX(COM객체)의 ProgID를 수정하실 수 있습니다.

initialization
 TSafeActiveFormFactory.Create(
   ComServer,
   TActiveFormControl,
   TaxUMainPrg,
   Class_axUMainPrg,
   1,
   '',
   OLEMISC_SIMPLEFRAME or OLEMISC_ACTSLIKELABEL,
   tmApartment).DeployVersion := '1.0';

이렇게 COM객체를 작성하고 javascript로 설치여부(버전정보 포함)를 검사해 인스톨(셋업) 프로그램
을 통한 수동 설치를 유도할 수 있습니다. 설치프로그램은 해당 ocx를 특정디렉토리에 복사하고
regsvr32 하는 과정을 해줘야겠지요. 그러면 거부감 없이(?) 코드서명 검사를
피해 서명되지 않은 ActiveX를 설치할 수 있습니다.

검색에서 제외된 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