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작성자 | 작성일 | 조회 | 버튼 | ||||
---|---|---|---|---|---|---|---|---|
[Tip]윈도우 비스타 터미널서비스 다수사용자 허용하기! | ProduceK | 2007-03-02 | 151 | 게시글 열기 | ||||
|
||||||||
[Tip]윈도우 비스타에서 와이드화면 찌그러짐 완화방법! | ProduceK | 2007-03-02 | 121 | 게시글 열기 | ||||
1. 일단 ATI 도 그렇고..지포스도 ["이미지를 평판 디스플레이 크기로 확장"] 가 있습니다. 그 체크를 없애주세요. 2. 그리고 [해상도] 는 확대없이 화면 전체가 꽉 차도록....저는 최대로 설정을 해야 꽉 찼습니다. 3. [DPI 설정] 은 보통크기로 해줍니다.
4. 일단 이렇게 하면 화면은 꽉차는데 글씨가 너무 작아서 잘 안보입니다. 이때...폰트크기를 일일이..[디스플레이등록정보-화면배색-고급]에서 바꾸었습니다. ㅡㅡ;;;; 그럼 일단 바탕화면 등 윈도 전체의 글씨크기는 커지게 됩니다.
5. 그리고 아이콘이 또 너무 작아보여서 [디스플레이등록정보-화면배색-효과-큰아이콘사용] 으로 아이콘 크기를 키웠습니다.
6. 이제 윈도 전반의 글씨크기는 커졌는데..(여기까지 쓰고 보니..상당한 중노동인듯한 ㅡㅡ;;;)
7. 마지막으로 [익스플로러 7]의 화면확대 기능을 이용하여 [텍스트크기]의 변경없이 깔끔한 웹페이지를 볼 수 있습니다. 일단.....ctrl + 마우스휠 을 돌리면 10%씩 화면이 확대/축소됩니다. 자신의 환경에 적절한 비율을 찾고 난 후.. 항상 그 비율대로 익플이 로딩되도록 약간의 레지수정을 하면 완성입니다.
실행 -> regedit -> HKEY_CURRENT_USER -> SOFTWARE -> MICROSOFT -> INTERNET EXPLORER -> ZOOM 으로 들어가서 ResetTextSizeOnStartup 0 , ResetTextSizeOnZoom 0, ResetZoomOnStartup 0, ZoomFactor 130000(10진수)
마지막의 zoomfacor 에서 자신이 원하는 비율이 130%이면 130000 , 120%면 120000 을 10진수로 지정해주면 완성입니다. 요렇게 수정해주면 항상 원하는 비율로 익플이 로딩됩니다. |
||||||||
[Tip]윈도우 비스타를 자기컴퓨터에 설치가능여부 확인하기! | ProduceK | 2007-03-02 | 122 | 게시글 열기 | ||||
아래의 주소로 가서 확인해주세요 ^^ 들어가신후 Run을 누르시면 된답니다. http://ati.amd.com/technology/windowsvista/areyouvistaready.asp |
||||||||
[TIP] 바탕화면 관련 팁 | 하명석 | 2007-03-02 | 168 | 게시글 열기 | ||||
바탕화면 설정하는 방법은 크게 세가지가 있습니다. 첫째로, 데스크탑 백그라운드 제어판을 이용하는 것입니다. 다들 윈도우즈 사용자라면 다들 아시겠죠? 둘째로, 익스플로러나 각 사진들을 선택하여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클릭하면 바탕화면 설정 할 수 있습니다. 셋째로, 인터넷상에서 사진 파일을 나의 바탕화면으로 설정하는 것으로 설정하고자 하는 그림에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 클릭 -> 백그라운드 설정] 하면 원하던 이미지를 얻을 수 있습니다. 이상 기본적인 팁이었습니다. |
||||||||
[Tip]윈도우 비스타에서 네스팟 사용방법 | ProduceK | 2007-03-02 | 329 | 게시글 열기 | ||||
암튼 비스타에서 잡아준 드라이버를 강제로 XP용으로 바꿔줍니다... 2.네스팟 CM을 설치합니니다... 그러면 OID미지원 에러는 안나오고 CM이 정상적으로 무선랜카드를 인식하지요... 하지만 접속이 되어도 인터넷이 안됩니다... 이유는 비스타의 네트워크 관리자가 CM을 거부(?)하기 때문이지요... 무선랜에 아이피가 없습니다.....ㅜ.ㅜ 3.실행창에 services.msc를 입력해서 서비스 관리콘솔을 띄웁니다.... 거의 마지막에 보면 WLAN Autoconfig라는 항목이 있습니다. 이놈이 자동으로 실행되고 있을 텐데요.... 자동으로 시작되지 않게 해주시고.... 중지시켜주세요.... 그러면 CM에서 받은 아이피가 무선랜카드로 전해지면서 정상적인 인터넷이 가능합니다... 주의할 점은 이렇게 설정하면 무선공유기 등의 다른 wireless 네트워크에 연결할 때도 CM을 이용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는데요.... CM에 프로파일 하나 추가하는 센스를 발휘한다면 불편하지 않습니다... 정상적으로 비스타를 지원하는 CM이 나올 때까지는 아이디 인증모드로 사용할 수 있는 괜찮은 방법일것입니다... sk에서 서비스하는 무선인터넷도 이런방법으로 될지 모르겠네요.... 그럽 이상 허접한 팁 마무리합니다... |
||||||||
[Tip]윈도우 비스타 팁 2가지 Plus | ProduceK | 2007-03-02 | 143 | 게시글 열기 | ||||
1. 어드민계정 활성화 하기
일반 계정에서 관리자 권한 실행 모드가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실행 안되는데 이거 하면 실행되는 프로그램도 간혹 있거든요. 일일이 그렇게 할필요없이 어드민 계정으로 들어가면 편하죠. 또한 파일 삭제/수정 권한은 어드민계정으로 해야만 됩니다. 그래서 아예 첨부터 관리자로 사용하면 편한거죠. 방법은...
최소에 설치하시고 일반 계정으로 로긴 합니다.
2. 보안탭의 사용자계정 컨트롤 끄기
사용자 계정 컨트롤을 키게되면 인터넷상에서 몇가지 제약이 따릅니다. 예를들면 액티브 X를 이용하는 다운로드 사이트(네이버,짱공유등등)들은 이 컨트롤을 켜놓으면 사용할 수가 없습니다. 아마 이걸 끄면 안되던 온라인 게임등도 되실껍니다. |
||||||||
[Tip]윈도우 비스타 ! 정품인증 쉽게 하자! | ProduceK | 2007-03-02 | 189 | 게시글 열기 | ||||
|
||||||||
: 비스타 가동 사양 : | 카레라샤오 | 2007-03-01 | 111 | 게시글 열기 | ||||
+ 비스타를 사용할려면 물론 기본적인 사양도 있지만 왠만해선
매끄럽게 굴리긴 어렵다
그래서 xp 보다 훨씬 빠르게 가동 시킬수 있는 사양은 무엇보다도...
듀얼코어 이상의 CPU 와 최소 1기가 이상의 메모리가 있어야 한다 물론 그래픽 카드도 X700 이상의 사양을 가지고 있어야 부팅속도는 물론 모든 프로그램 실행시에 XP 보다 배 이상의 성능을 보여준다...
위 내용데로면 비스타는 XP 보다 훨씬 멋쥐고 빠른 체험을 할수 있습니다... |
||||||||
비스타!! 자료펌!~!! | 진석이 | 2007-03-01 | 92 | 게시글 열기 | ||||
|
||||||||
열한 번째 팁, VISTA 바탕화면 바로 가기 화살표를 제거... | 벙숙이 | 2007-03-01 | 95 | 게시글 열기 | ||||
1) 대부분의 Tweak 프로그램이 화살표를 제거히는 방법으로 레지스트리의 IsShortCut 문자열 값을 리네임하거나 또는 제거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2) Windows는 링크를 추적하기 위하여 이 값을 사용하므로, 사용자가 이 IsShortCut의 값을 리네임하거나 또는 제거하면 그 부작용으로 링크를 사용하는 많은 프로그램과 역할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게 됩니다. 3) Vista에서 보면 Favorite Link들의 바로 가기에 문제가 생기면, Media Center와 Games Explorer가 작동하지 않게 되는 것이 좋은 예가 됩니다. 4) 아래의 ZIP 파일은 이전 버전의 Windows에서 TweakUI가 작용하였던 것과 똑 같은 방법으로 화살표를 제거해 줍니다. 5) 적용 방법 (1) 설치 ㄱ. 사용자가 이전에 어떤 프로그램이나 레지스트리의 방법으로 IsShortCut값이 제거되었다면, 아래 Reg 파일의 병합(이 Reg 파일을 마우스 오른쪽 버튼으로 선택하여 Merge를 선택)으로 이를 복원하기 바랍니다. RestoreArrow.reg ㄴ. Blank.ico를 사용자의 Windows 디렉토리에 복사한 후 RemoveArrow.reg로 Merge합니다. ㄷ. 로그오프하여 다시 로그온하거나 아니면 재부팅을 합니다. (3) 삭제 ㄱ. RestoreArrow.reg로 병합한 후 Windows 디렉토리의 Blank.ico를 삭제합니다. ㄴ. 로그오프하여 로그온하는 방법이나 아니면 시스템을 재부팅합니다. (4) 편집 ㄱ. 때로는 아이콘 캐시의 갱신을 위한 로그오프-로그온하는 방법 또는 재부팅하는 방법이 충분치 않아 아이콘이 제대로 나타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ㄴ. Overlay가 바르지 않은 아이콘을 표시한다면, 사용자는 시스템을 종료한 후 다시 시작해 보기 바랍니다. 6) 다운로드 : RemoveArrow.zip ( 2.27k ) |